종 목 | 상한가 일수 |
사유 |
에코바이오 (038870) 5,590원 (+30.00%) |
1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예비후보, 온실가스 감축·탈 플라스틱 공약 등에 온실가스(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그린케미칼 (083420) 10,140원 (+30.00%) |
1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온실가스 감축·탈 플라스틱 공약 등에 온실가스(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SDN (099220) 1,669원 (+29.98%) |
1 | 美, '동남아 우회' 中 태양광 제품 폭탄 관세 부과에 따른 반사수혜 기대감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세림B&G (340440) 1,591원 (+29.98%) |
1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온실가스 감축·탈 플라스틱 공약 등에 친환경 생분해 원료를 이용한 생분해 필름의 제조·판매 사업 영위 사실 부각에 상한가 |
신라젠 (215600) 3,170원 (+29.92%) |
1 | 美FDA 항암제 임상 확대 승인 및 네덜란드 Crossfire社 항암제 BAL0891 보유 특허 획득 소식에 상한가 |
금양그린파워 (282720) 11,510원 (+29.91%) |
1 | 풍력에너지 및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한국팩키지 (037230) 2,125원 (+29.89%) |
1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온실가스 감축·탈 플라스틱 공약 등에 친환경 식품용용기인 카톤팩 제조 사실 부각에 상한가 |
자이언트스텝 (289220) 7,170원 (+29.89%) |
1 | 3D 애니메이션 영화 ‘킹 오브 킹스' 흥행 소식에 상한가 |
포바이포 (389140) 28,900원 (+29.89%) |
1 | 거래재개 후 퓨리오사AI 관련주로 지속 부각되며 상한가 |
네이처셀 (007390) 33,250원 (+29.88%) |
1 | 美 FDA, 조인트스템 한국 임상 3상 인정 소식에 상한가 |
진영 (285800) 2,630원 (+29.88%) |
1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온실가스감축·탈 플라스틱 공약 등에 친환경 소재인 고기능성(ASA) 플라스틱 시트 연구·개발·제작 사실 부각에 상한가 |
삼륭물산 (014970) 3,740원 (+29.86%) |
1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온실가스 감축·탈 플라스틱 공약 등에 친환경 식품용 용기인 카톤팩 제조 사실 부각에 상한가 |
엠투엔 (033310) 2,270원 (+29.86%) |
1 | 종류주 소각 결정 및 신라젠, 美 FDA 항암제 임상 확대 승인 및 네덜란드 Crossfire社 항암제 BAL0891 보유 특허 획득 소식 속 신라젠 최대주주로 부각되며 상한가 |
에스에너지 (095910) 2,125원 (+29.81%) |
1 | 美, '동남아 우회' 中 태양광 제품 폭탄 관세 부과에 따른 반사수혜 기대감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상한가 |
박셀바이오 (323990) 10,580원 (+29.34%) |
간암 대상 NK세포 치료제 원천특허 등록 소식에 급등 | |
에코플라스틱 (038110) 3,080원 (+24.70%)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온실가스 감축·탈 플라스틱 공약 등에 친환경차부품 제조 사실이 부각되며 급등 | |
신성이엔지 (011930) 1,596원 (+20.63%) |
美, '동남아 우회' 中 태양광 제품 폭탄 관세 부과에 따른 반사수혜 기대감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
우듬지팜 (403490) 2,020원 (+20.53%)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전북 스마트팜밸리 방문 예정 소식 등에 농업 테마 상승 속 급등 | |
파루 (043200) 594원 (+18.56%) |
美, '동남아 우회' 中 태양광 제품 폭탄 관세 부과에 따른 반사수혜 기대감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
대동기어 (008830) 21,900원 (+18.31%) |
농업 및 우크라이나 재건테마 상승 속 급등 | |
에코아이 (448280) 28,900원 (+17.48%)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온실가스 감축·탈 플라스틱 공약 등에 온실가스(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테마 상승 속 급등 | |
SK이터닉스 (475150) 16,730원 (+17.32%) |
풍력에너지 및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美 ESS 사업 진출 목적 174.40억원 규모 GridFlex Inc. 주식 신규 취득 결정에 급등 | |
대명에너지 (389260) 16,120원 (+16.98%) |
풍력에너지 및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
대성파인텍 (104040) 958원 (+16.12%) |
美, '동남아 우회' 中 태양광 제품 폭탄 관세 부과에 따른 반사수혜 기대감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
삼현 (437730) 14,700원 (+14.04%) |
H사 EREV 차량용 도그클러츠 액추에이터 양산업체 지정 소식에 급등 | |
인스코비 (006490) 1,755원 (+12.28%) |
계열사 아피메즈 미국법인, Form S-1 수정본 제출 소식에 급등 | |
켐트로스 (220260) 4,995원 (+12.25%)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온실가스 감축·탈 플라스틱 공약 등에온실가스(탄소배출권)/탄소 포집·활용·저장(CCUS) 테마 상승 속 급등 | |
지엔씨에너지 (119850) 21,600원 (+12.21%) |
이재명표 AI 시범도시 패키지 공약 기대감 지속 속 데이터센터 발전기사업 영위 사실 지속 부각에 급등 | |
포인트모바일 (318020) 3,405원 (+12.19%) |
100억원 규모 자동차 인증 진단장비 'TR54' 공급 계약 체결 소식 속 日 자동차진단 시장 진출 기대감 등에 급등 | |
유니슨 (018000) 1,289원 (+12.09%) |
전남 신안에 국내 최대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소식 등에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
와이지-원 (019210) 5,840원 (+11.88%) |
美 관세 대응 전략 기대감 등에 급등 | |
제로투세븐 (159580) 7,010원 (+11.62%) |
'궁중비책' 선케어 라인 4종, 아마존 베이비 선 프로텍션 베스트셀러 선정 소식에 급등 | |
라파스 (214260) 15,750원 (+11.15%) |
세계 최초 '세마글루타이드 마이크로니들 패치' 임상 1상 결과 발표 소식에 급등 | |
동국S&C (100130) 2,495원 (+10.64%) |
전남 신안에 국내 최대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소식 등에 풍력에너지 테마 상승 속 급등 | |
코오롱ENP (138490) 6,330원 (+10.28%)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 온실가스 감축·탈 플라스틱 공약 등에 세계 최대 규모 POM(폴리옥시메틸렌) 바이오플라스틱 생산단지 보유 사실 부각에 급등 | |
에이프릴바이오 (397030) 15,400원 (+10.00%) |
바이오USA서 글로벌 파트너 미팅 본격화 소식에 급등 | |
전진건설로봇 (079900) 48,800원 (+9.66%) |
푸틴, 개전 후 처음으로 우크라와 직접 대화 제안 소식에 건설기계 테마 상승 속 급등 | |
캔버스엔 (210120) 4,380원 (+9.64%) |
STO 관련 간담회 주최 교수 김용진, 이재명 싱크탱크참여 소식 속 콘텐츠 기반 STO 플랫폼 개발 진행 이력 지속 부각에 급등 |
해외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2일(현지시간) "중국과 관세협상에서 강경한 태도를 취하지 않겠다"며 "관세율도 상당히 내려갈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에서 취재진을 만나 "중국과의 협상이 잘 진행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발언은 지난 2일 상호관세 발표 이후 중국과 무역전쟁이 확대되는 가운데 그동안 보였던 대중국 강경론에서 한발 물러선 입장으로 풀이된다. 관세전쟁 여파로 미국 증시와 채권시장이 흔들리고 달러 가치마저 급락하는 등 '트리플 약세'가 이어지면서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전략적 입장으로 선회하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부과한 상호관세) 145%는 너무 높은 수준"이라며 "145%까지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관세율이 제로(0)는 아닐 것"이라며 "중국이 협상에 나오지 않는다면 우리가 결정할 것이고 숫자도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 얘기는 안 할 것"이라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에게 강력히 대응하겠다고 하지 않을 것이고 아주 우호적으로 접근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어떻게 전개될지는 지켜봐야겠지만 결국 중국은 미국 시장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협상에 나서야 한다"며 "중국이 미국과 거래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도 이날 오전 JP모건체이스가 주최한 투자자들과의 비공개 회의에서 "현재의 현상 유지가 지속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다"며 상황이 빠르게 개선될 것이란 메시지를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베선트 장관의 이 같은 발언이 전해진 뒤 뉴욕증시는 일제히 상승세를 보였다.
국내뉴스
급등한 정치테마주 팔아 수십억씩 챙긴 내부자들…도박장 된 국장
대선을 앞두고 정치테마주로 묶인 종목들의 주가가 급등한 틈을 타서 대주주나 회사 임원들이 주식을 팔아 수십억 원씩 챙기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선거철마다 나타나는 정치테마주 열풍이 후진적 행태라는 비판이 나오지만 ‘묻지마 투자’가 반복되면서 국내 증시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고 있다.
22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벤처캐피탈인 DSC인베스트먼트(241520) 임원 등 8명의 주식 매도 공시가 일제히 등록됐다. 1주당 5000원 이하였던 주가가 14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경선 예비후보의 퓨리오사AI 방문 이후로 테마주로 엮이면서 8000원대로 오르자 다급히 보유 주식을 내다팔아 현금화한 것이다. DSC인베스트먼트는 퓨리오사AI에 투자한 이력이 있다는 이유로 테마주가 됐다.
임원 매도 내역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김요한 본부장(전무)은 15일과 16일 이틀에 걸쳐 21만 주, 4만 주를 팔아 22억 3600만 원을 챙겼다. 박정운 본부장(전무)도 15일 25만 주를 팔아 21억 원을 확보했다.
이외에도 이한별 본부장 21억 4500만 원(23만 7496주), 신동원 상무 23억 3300만 원(23만 9133주), 이경호 상무 24억 3500만 원(26만 9000주) 등 주요 임원들도 보유 지분을 장내 매도해 수십 억 원씩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이성훈 상무는 보유 지분 전량인 7460주를 모두 팔아 6737만 원을 가져갔다.
심지어 사외이사인 채주락 이사도 보유 지분 중 3만 주를 매도해 2억 6500만 원을 챙긴 것으로 나타났다. 윤건수 대표이사 배우자인 이현옥씨는 20만 주를 매도해 18억 8500만 원을 확보했다. 이씨의 처분 단가는 1주당 9425원으로 매도자 중에선 가장 비싸게 주식을 팔아치웠다.
조기 대선 국면에 급등한 정치테마주를 대주주나 회사 임원 등이 매도한 사례는 이뿐만이 아니다. 이재명 예비후보의 대표 테마주인 오리엔트정공(065500)의 장재진 대표는 탄핵 정국이 한창이던 올해 2~3월 회사 주가가 오르자 수차례에 걸쳐 주식을 팔았다. 남은 지분도 5월 중 장내매도로 매도할 계획으로 전체 매도 규모는 85억 7000만 원에 달한다.
이재명 테마주로 꼽히는 코나아이(052400)의 조정일 대표도 11만 5600주를 장내 매도해 45억 원을 챙겼다. 해당 회사의 신동우 감사도 보유 주식 2000주를 모두 팔았다. 마찬가지로 이재명 테마주인 동신건설(025950) 대표와 친인척 관계인 우손숙씨는 59억 원에 이르는 보유 지분을 전량 매도했다. 에이텍(045660) 신승영 대표도 103억 원 규모의 30만 주를 매도하겠다고 공시했다. 신 대표는 이 대표가 성남시장일 때 성남창조경영자 포럼 운영위원을 맡았다.
정치테마주 유행 등 후진적 현상은 대선 및 총선 등 선거철마다 반복되고 있다. 미국 헤지펀드 아카디안에셋의 오언 러몬트 수석부사장은 미국 증시가 ‘한국화(Koreafying)’ 되고 있다며 국내 투자자들의 투자 행태를 강하게 지적했는데 정치 테마주를 대표적인 사례로 들었다. 다만 기업 본질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투자 문화가 정착되지 않는 한 이같은 문제를 해결하긴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이게 나라냐?
신라젠은 네덜란드 바이오기업 크로스파이어(Crossfire)로부터 항암제 BAL0891 특허 및 권리를 200만스위스프랑(한화 약 35억원)을 지급하고 모두 확보했다고 22일 밝혔다
크로스파이어는 BAL0891의 원 개발자로 최초 계약에 의하면 향후 개발 단계에 따라 신라젠이 크로스파이어에 최대 1억7200만스위스프랑(한화약 3005억원)의 마일스톤을 지급할 의무를 가지고 있었다.
이번 계약 변경을 통해 신라젠은 모든 마일스톤 의무를 해소했다. BAL0891은 네덜란드 크로스파이어가 최초 개발하고 스위스 제약사 바실리아가 도입해 개발하던 중 지난 2022년 바실리아가 항암제 사업 부문을 철수하면서 신라젠이 전격 도입한 이중 억제 기전 항암제다. BAL0891의특허는 크로스파이어와 바실리아가 각각 보유하고 있으며, 이번 계약 변경을 통해 신라젠이 크로스파이어 측이 보유하고 있던 모든 특허와 권리를 획득했다.
현재 신라젠은 미국과 한국에서 BAL0891 임상에 순항 중이며, 기존 고형암 대상 임상에서 급성골수성백혈병(AML)까지 적응증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적응증 확장은 향후 크로스파이어에 지불해야 할 마일스톤 규모가 더욱 커지는 계기가 될 수 있었으나, 이번 계약 변경을통해 잠재적인 경제적 부담을 해소할 수 있게 됐다.
이번 계약 변경은 최대 주주 엠투엔 및 계열사 보고 과정을 거친 후 이사회에 전격 상정 및 결정을 통해 진행됐다. 신라젠 관계자는 “이번전략적 계약 변경을 통해 최소의 금액으로 크로스파이어의 모든 권리를 획득했고, 향후 BAL0891의 라이선스 아웃 추진 시 해결해야 할 과제를 선제적으로 해결했다”라고 밝혔다.
새롭게 진입할 BAL0891의 급성골수성백혈병(AML)에 대한 전임상 연구 결과는 곧 글로벌 학회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드럼통 제조 사업 등을 하는 엠투엔 주가가 급등했다. 대통령 선거에 돌입하면서 드럼통이 화두에 올라서라기보단, 엠투엔이 최대 주주로 있는 신라젠 주가가 강세인 영향이 컸다.
엠투엔 주식은 22일 오후 3시 4분 코스닥시장에서 2270원에 거래됐다. 전날보다 주가가 29.86%(522원) 뛰면서 상한가(일일 가격 제한 폭 최상단)를 찍었다.
일부 투자자들은 엠투엔을 ‘드럼통’ 테마주라고 명명했다. 대선을 앞두고 정치 테마주가 강세를 보이는 가운데 드럼통이 언급됐었기 때문이다.
나경원 국민의힘 대선 경선 후보는 최근 ‘드럼통에 들어갈지언정 굴복하지 않는다’고 적힌 피켓을 들고 드럼통에 들어간 사진을 올렸다. 영화 ‘신세계’ 등에서 드럼통에 사람을 넣고 협박하는 모습이 나오는데, 나 후보는 이를 활용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를 비판했다.
나 후보 측은 지난 21일에도 드럼통을 홍보 수단으로 꺼냈다. 유명 밴드 콜드플레이의 내한 공연 영상 중 보컬 크리스 마틴이 드러머 윌 챔피언을 대통령으로 추천한다고 언급한 장면을 “다음 대통령 한 명 정해준다. 바로 드럼통 챌린지를 한 나경원”이라는 자막을 달아 올렸다. 팬들은 임의로 영상을 편집했다며 비판했고 나 후보 측은 콜드플레이의 의도와는 무관한 단순 홍보 영상’이라고 해명했다.
엠투엔이 드럼통 사업을 하는 것은 사실이다. 엠투엔은 스틸드럼 사업, 전장 사업, 바이오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다. 이 가운데 석유화학 제품을 포장하는 철제 포장 용기인 스틸드럼의 매출 비중은 지난해 기준 40% 수준이다.
다만 엠투엔 주가 강세는 정치 테마주 성격보다는 신라젠 효과가 크다는 게 대체적인 의견이다. 엠투엔은 지난해 말 기준 신라젠 지분 13.65%를 보유한 최대 주주다. 신라젠은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항암제 임상시험계획 변경을 승인받으면서 현재 주가가 상한가를 기록 중이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예비후보가 국가차원의 ‘탈플라스틱’ 로드맵을 수립하겠다는 정책 공약을 내놓으면서 관련주가 동반 강세를 보이고 있다.
22일 엠피닥터에 따르면 이날 오전 10시8분 현재세림B&G(340440)와 삼륭물산(014970), 진영(285800), 한국팩키지(037230)는 각각 상한가를 기록하고 있다. 같은 시각 에코플라스틱(038110)(16.19%), 코오롱ENP(138490)(15.16%) 등도 큰 폭 상승 중이다.
이들 종목은 친환경 생분해 원료를 이용한 생분해 필름의 제조ㆍ판매를통한 사업을 영위하거나 플라스틱이 아닌 종이로 만들어지는 카톤팩 등을 생산하는 기업으로 탈플라스틱 관련주로 분류된다.
이 후보가 이날 ‘55회 지구의날’을 맞아 개인 페이스북을 통해 “대한민국을 탈 플라스틱 선도 국가로 만들겠습니다”고 언급하면서 관련주에 투자심리가 몰린 영향으로 풀이된다.
이 후보는 “먼저 국가차원의 탈플라스틱 로드맵을 수립하겠다”며 “말 그대로 ‘알맹이’만 팔아서 쓰레기를 줄이는 ‘알맹상점’처럼, 국민들이 자발적으로 만드는 순환 경제 거점 인프라를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또 “중장기적으로 바이오 플라스틱 산업을 전략 육성하고, ‘소비자 수리권’보장으로 생활 속 자원순환 경제를 만들겠다”고도 약속했다.
---
도대체 세력들이 얼마나 퍼져있으면 이런 기사 하나 뜨면 상한가 가고 주가 조작이 쉬운지... 에혀
'경제 >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특징종목 이슈 요약 (8) | 2025.04.25 |
---|---|
AI와 함께하는 이재명, 홍준표,한덕수,한동훈,김문수 정치, 정책테마주 정리 (4) | 2025.04.19 |
25년 4월 9일 상한가 및 급등 종목 정리, 이재명 관련주 상지건설 6일 급등 웃기네 (1) | 2025.04.09 |
이재명 테마주 윤석렬 탄핵결정후 급등할까? (3) | 2025.04.03 |
의성 산불이 주식시장에 끼치는 영향은? (4) | 2025.03.26 |
댓글